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니콜 크라우스 [위대한 집] : 상실의 이야기

by vaminglibrary 2025. 4. 16.

니콜 크라우스 위대한 집
니콜 크라우스 [위대한 집]

 

 

『사랑의 역사』로 내가 팬이 되어버린 니콜 크라우스. 그녀의 또 다른 작품을 안 읽어볼 수 없었다. 더군다나 내가 좋아하는 작가인 김현우 님의 번역이라고 하니 더욱더 이 책을 읽을 이유가 생겼다. 번역이 너무 매끄러워 읽는 내내 전혀 어색한 부분 없이 너무나 매끄럽게 술술 읽혔다. 자, 그럼 니콜 크라우스의 『위대한 집』을 만나보자.

 

책상으로 얽힌 

 

『위대한 집』은 하나의 오래된 책상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펼친다. 이 책상은 단순한 가구가 아니다. 그것은 누군가에게는 창작의 도구이며, 다른 누군가에게는 사랑의 유산이자 상실의 증표이다. 크라우스는 이 책상이 세대를 건너며 다양한 이들의 삶에 스며드는 과정을 통해, 인간이 기억을 어떻게 간직하고 소유하는지를 깊이 있게 탐색한다.

작품은 네 개의 주요 서사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인물들은 서로 다른 시간과 공간에 존재하면서도 미묘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구조는 독자로 하여금 이야기의 퍼즐을 스스로 맞춰 나가도록 유도하며, 독서 자체를 하나의 해석 행위로 만든다. 서사는 단절적이고, 인물들의 목소리는 단조롭지 않다. 오히려 그것이 이 작품을 더욱 실감 나고 현실적으로 만든다. 삶이라는 것은 늘 완결되지 않은 채로 존재하며, 『위대한 집』은 그 불완전함을 문학적으로 담아낸다.

 

상실의 아픔

이 작품의 핵심 정서는 상실이다. 사랑하는 사람의 부재, 과거의 상처, 기억 속의 집—all of these haunt the characters. 특히, 홀로 아이를 키우는 여성 작가 나딘의 이야기에서는, 상실이 삶의 일부가 된다는 사실이 섬세하게 묘사된다. 그녀는 책상을 통해 과거의 남편을 기억하고, 동시에 현재를 버텨낸다.

또한, 칠레의 전두환 시절을 배경으로 한 에피소드에서는 정치적 박해와 개인적 비극이 겹치며, 집단적 상실이 어떻게 개인의 삶에 흔적을 남기는지 보여준다. 이처럼 『위대한 집』은 사적인 상처와 공적인 비극이 겹쳐질 때, 인간이 어떻게 자신을 보존하고자 하는지를 조용하게 묻는다.

크라우스는 이 모든 상실을 감정적으로 과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절제된 문체와 반복되는 이미지, 그리고 간결한 회상의 형식을 통해 독자 스스로 감정을 해석하게 만든다. 그리하여 상실은 단지 고통스러운 경험이 아니라, 삶을 이해하는 방식이자 시간과 정체성을 가늠하는 도구로 확장된다.

 

존재의 흔적들

『위대한 집』은 결국 ‘기억의 집’을 짓는 이야기다. 책상은 기억의 물리적 매개체이고, 인물들은 그 안에 자신들의 존재를 새기려 애쓴다. 책상 위에 남겨진 흔적들—글자, 자국, 흠집—이 모두는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감정과 시간을 담고 있다. 그리고 이는 곧 인간이 남기고자 하는 유산, 즉 ‘나는 여기에 있었다’는 증명의 방식이 된다.

이 작품은 무엇보다도 문학에 대한 성찰로 읽힌다. 글쓰기란 무엇인가? 그것은 타인과 연결되는 통로인가, 아니면 자신을 지탱하는 도구인가? 크라우스는 직접적인 해답을 내리지 않는다. 다만 조용히 질문을 던지고, 그 여운을 독자에게 남긴다. 마치 닫히지 않은 문처럼, 작품은 완결되지 않은 채로 끝나고, 그 미완성 속에서 오히려 완전함을 느끼게 한다.

 

마지막 조용한 고요

『위대한 집』은 서사가 단순하지 않다. 인내심을 요하며, 때로는 불친절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페이지를 넘길수록 독자는 깊은 공감과 통찰을 얻게 된다. 모든 인물들이 겪는 상실과 고독은 우리 모두의 이야기처럼 들린다.

이 작품은 삶이란 결국 기억과 상처, 그리고 그것을 담아낼 언어를 찾는 여정임을 보여준다. 조용하지만 강력한 울림을 남기는 소설이다. 깊은 사유를 동반한 독서를 원한다면, 『위대한 집』은 충분한 보상을 줄 것이다.

 

새겨진 문장

_p. 19

갑자기 물건들의 주인에 대한 고마운 마음이 물밀듯이 밀려왔어요. 그가 제게 주는 게 그저 나무 덩어리와 덮개가 아니라 새로운 삶을 살 기회라도 되는 것 같았어요. 그럼 제가 처한 상황에 맞서는 건 저의 몫이 되겠죠. 말하기 부끄럽지만, 정말로 눈에 눈물이 가득 고였어요. 판사님, 자주 있는 일이긴 했지만, 그 눈물은 그동안 생각하지 않고 지내려 했던 더 오래된, 이젠 흐릿해져 버린 후회들에서 비롯된 것이었어요. 그 선물이, 낯선 이가 빌려준 가구와 그런 오래된 후회들을 흔들어 놓은 거죠.

 

_p. 117

아내는 자신의 슬픔 때문에 괴로워했지만 그걸 숨기려고, 점점 더 작게 쪼개서 아무도 찾을 수 없을 것 같은 곳에 흩어놓으려고 애썼다. 하지만 나는 종종 그겄들을 찾아내 -시간이 지나면서 어디를 뒤지면 되는지 알게 되었기 때문에- 맞춰보려 애썼다. 아내가 그 슬픔을 안은 모습으로 나를 마주할 수는 없다고 생각하는 게 나는 아팠지만, 보여주고 싶지 않은 그런 모습을 내가 밝혀내는 걸 알게 되었을 때 아내의 고통이 더 클 것임을 알고 있었다. (중략) 하지만 사랑하는 사람을 아무 말 없이 그저 바라보는 것만으로, 혼란 속에서 지켜보는 것만으로 만족하는 일은 불가능했다.